'몸짱' 미 보건장관 "독 제거해야 한다"며 내린 국가적 지침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 보건복지부 장관(왼쪽).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엑스
식품 기업들에 '인공색소 제거하라' 지시
"음식에서 '독' 제거해 신뢰 강화할 것"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 보건복지부(HHS) 장관이 미국 내 가공식품 제조업체들에 '인공색소를 제거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미 금융 매체 '블룸버그'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식료품 유통업체 이익단체인 '소비자브랜드협회(CBA)'가 회원사들에 보낸 이메일 내용을 인용, 케네디 장관이 전날 주요 식품 기업 고위 간부들과의 회동에서 이같은 요구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회동에는 시리얼 제품으로 유명한 제너럴 밀스, 켈로그, 크래프트 하인즈, 펩시코 등 대기업의 고위 간부가 참석했다고 한다.
매체에 따르면, 케네디 장관은 임기를 마치기 전 미국에 유통되는 식품에서 인공색소를 제거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채택했다. 또 식품업계가 식품 내 인공색소를 없앨 해법을 강구하지 않으면 직접 조처에 나설 것임을 명백히 밝혔다고 CBA는 전했다.
CBA는 "당국이 식품업계에 기대하는 구체적 내용, 업계가 해결책으르 제공하는 과정에서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을 HHS가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는 당국자들과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회의 이후 케네디 장관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 계정에 글을 게재해 "우리는 음식에서 독을 제거함으로써 소비자 신뢰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미 미국 내 일부 주에서는 인공색소 첨가물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지난해부터 학교 급식에서 인공색소 사용을 전면 금지한 바 있다. 버지니아주, 뉴욕주도 유사한 조처를 검토 중이다.
한편 미국의 건강 활동가들은 식품 회사들이 아무 영양가 없는 인공색소를 식품에 첨가해 음식을 시각적으로 더 끌리게 만든다고 비판해 왔다. 또 일부 색소 성분은 어린이들에게 과잉행동 장애, 암 등을 유발할 우려도 제기돼 왔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임주형 기자 ⓒ 아시아경제